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때 옵션을 통해 여러가지 사항들을 변경할 수 있다.
-u : uid 지정
-g : goup 지정
-c : 코멘트 지정
-d : 홈디렉터리 지정
-s : 쉘지정
-G : 추가 그룹 지정
예제 1. 사용자 c를 생성, uid 10000, gid 10000, 코멘트 sales, 홈디렉터리 /home_1/c 생성
※ 계정을 생성할 시 기본적으로 uid 와 동일한 gid 가 자동으로 지정되기 때문에 따로 적지 않아도 됨.
예제 2. 사용자 d를 생성하는데 uid 10001, 기본 그룹 10001, 추가 그룹 root, 코멘트 tech, 홈디렉터리 home_2/d, 로그인 불허 | 로그인 할 수 없는 이유 출력
※ 방금 전 작업에서 uid를 10000으로 설정했다. 그러면 그 다음 uid 는 기본 10001로 설정되기 때문에 따로 지정 x
예제 3. 사용자 e를 생성하는데 uid 20000, gid 20000, 추가 그룹 10000, 코멘트 admin, 홈디렉터리 /home/e, 로그인 쉘은 sh
예제 4. 사용자 a 생성, uid 2000, gid 2000, 추가 그룹 0, 코멘트 admin, 홈 디렉터리 /home_1/a, 로그인 불허 이유 설명 x
이미 만들어진 계정의 설정을 바꾸는 거 또한 가능한데 명령어는,
usermod -[옵션] 이다.
useradd 와 옵션은 동일하다.
여기서 중요한 점은 계정의 설정을 변경하는 명령어를 작성한 뒤 -m 옵션을 별개로 꼭 붙여줘야한다.
그렇지 않으면 내부데이터가 넘어가지 않는다.
usermod 에는 그룹에서 계정 사용자를 제외하는 명령어가 없다.
gpasswd -d [ 사용자 ] [ 그룹 ] - 그룹에서 사용자를 제거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. /etc/default/useradd (0) | 2022.09.16 |
---|---|
리눅스 . /etc/shadow 분석 (0) | 2022.09.16 |
리눅스 . 사용자 계정 생성 (0) | 2022.09.15 |
리눅스 명령어 . umask (0) | 2022.09.15 |
리눅스 . ACL 예제 (0) | 2022.09.15 |